전체 글

한발 물러서서 나를 관찰하자
스위치란?네트워크를 공부하다 보면 Switch라는 말을 자주 보게 된다. 스위치란 말 그대로 스위칭을 해주는 것 우리 말로는 어떠한 전환을 해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전에 배운 OSI 7 계층을 기준으로 스위칭이 일어나는 위치에 따라서 L2(layer2) L3(layer3) L4(layer4) L7(layer7) 스위치라고 부른다. 가격은 L2가 가장 저렴하고 L7이 비싸다.이번 글에서는 각 계층별 스위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무엇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한다.L2 스위치2계층인 DataLink 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치로 2계층의 PDU인 frame의 Mac address를 사용하여 장치 간 통신을 하는 스위치이다.L2 스위치 작동원리1. MAC 주소 테이블저 수많은 포트에 LAN선이 꽂히..
우리는 심심치 않게 naver.com, google.com 등 주소창에 인터넷 주소를 치곤 한다. 속도가 워낙 빨라 순식간에 웹페이지를 만나게 되지만 그 사이에 client와 server 그리고 DNS 서버가 서로 많은 것을 주고 받는다. 이번에는 우리가 주소창에 google.com을 쳤을 때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DNS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DNS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사용자가 naver.com 같이 읽기 편한 인터넷 주소를 192.168.0.200 식으로 기계가 읽기 쉬운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일종의 전화번호부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우리는 앞서서 client 하나의 컴퓨터고 server도 하나의 컴퓨터 인것을 배웠다. host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정처기를 공부하게 되면 OSI 7계층에 대해서 공부를 하게 된다. 그러나 정처기 책에서의 OSI 7계층의 설명 내용은 너무 추상적이고 개인적으로 와닿지 않아서 그냥 암기만 했던 기억이 있다.그러나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 먹고 이번 네트워크 스터디를 위해서 OSI 7 계층을 공부하던 중 '널널한개발자' 라는 분의 강의가 너무 인상 깊어서 오늘은 그 분의 강의를 보고 난 뒤 바라보는 OSI 7 계층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네트워크란?Net과 Work의 합성어로 여러 개의 장치나 시스템이 서로 연결 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Node와 Link가 서로 연결 되어 있고 자원을 공유하는 집합 사람 2명이 서로 멀리서 우편으로 정보를 교환한다라고 생각해보자.송신자인 사람은 정보를 종이에 쓰고 우편봉투에 넣는다..
사실 교착상태는 이 짤 하나로 다 표현 할 수 있다. 너의 이해관계, 나의 이해관계 그리고 우리 모두의 이해관계로 인해 일이 전혀 진행 되지 않는 상황이다.앞서 작성한 멀티쓰레드, 멀티프로세스 환경에서는 같은공간 즉 Critical Section에 서로가 참조 할 수 있어서 동기화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동기화기법을 적용하게 되면 낮은 확률로 DeadLock(교착상태)가 나올 수 있다. 이번에는 교착상태의 조건은 무엇인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프로세스의 자원 사용 절차프로세스는 다음 4가지의 절차에 의해서 자원을 활용한다.Request : 자원을 요청하고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을 사용하고 있을 시 대기한다.Allocate : 자원을 할당 받는다.Use : 프로세스가 할당 받은 자원을 사..
독서, 운동 그리고 개발
ptcman